카테고리 없음

AI 블로그 자동화 시스템 구축법: 글쓰기부터 발행까지 완전 자동화 흐름

설도비 2025. 4. 9. 08:00
반응형

꾸준한 블로그 운영이 수익화의 핵심이라는 걸 알면서도, 매번 아이디어 정리 → 글쓰기 → 발행 → 공유까지 하려면 많은 에너지가 소모됩니다. 이 글에서는 ChatGPT, Notion, Make, 티스토리 API 등을 활용해 블로그 운영의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소개합니다.

1. 자동화 시스템이 필요한 이유

  • ✅ 아이디어가 있어도 시간이 부족해 글을 못 씀
  • ✅ 발행 후 링크 공유를 매번 수동으로 해야 함
  • ✅ 멈추지 않는 블로그를 만들고 싶지만, 일관성이 부족함

👉 해결책: 반복적인 작업을 시스템화해두면, 본질적인 ‘콘텐츠 기획’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.

2. 전체 자동화 구조 개요

아래는 AI 자동화 블로그 운영의 흐름입니다:

  • 1단계: ChatGPT → 블로그 글 초안 생성
  • 2단계: Notion → 콘텐츠 캘린더로 관리
  • 3단계: Make → 상태 변경 시 자동 발행
  • 4단계: 티스토리 API로 글 등록
  • 5단계: SNS나 이메일 자동 공유

3. ChatGPT로 블로그 글 자동 초안 만들기

프롬프트 예시:

“아래 주제에 대해 블로그 글 1,000자 분량으로 써줘.
제목: AI 자동화 부업이란?”
    

Tip: 일정한 프롬프트 포맷을 만들어두면 자동화 연결 시 활용도가 높아집니다.

4. Notion 콘텐츠 캘린더로 시스템화

  • Notion에서 DB 생성 (속성: 제목, 상태, 발행일, 내용)
  • ChatGPT 결과물 붙여넣기 → 상태값 “작성 완료”로 변경
  • 이 DB를 Make와 연동하면 자동 트리거로 작동

5. Make에서 Notion → 티스토리 자동 발행 연결

Make(구 Integromat) 설정 순서:

  1. Scenario 생성 → Notion 모듈: Watch database items
  2. 조건 설정: 상태값이 “작성 완료”일 때
  3. 다음 모듈: HTTP → 티스토리 API POST
  4. 필드 매핑: 제목, 본문, 카테고리 ID 등

참고: 티스토리 API 토큰은 관리자 페이지에서 발급 가능

6. 자동 공유까지 연결하기 (선택)

  • Make → Slack / Discord / Gmail 연동
  • 또는 Zapier로 블로그 링크 자동 공유 설정
  • 뉴스레터 운영자라면 MailerLite, Beehiiv API도 연동 가능

이 과정을 통해 글 1개 발행 시, 자동으로 3~5개 채널에 배포가 가능합니다.

7. 수동/자동 혼합 전략도 OK

모든 작업을 100% 자동화하지 않아도 됩니다. 추천 루틴:

  • ChatGPT → 초안 생성 (자동 or 수동)
  • 수정 후 Notion에 입력 → 상태 “발행 대기”
  • 발행 승인 시 자동 등록 + 공유

자동화가 ‘귀찮음을 없애는 것’이 아닌 꾸준함을 돕는 도구로 작동해야 합니다.

✅ 마무리

콘텐츠를 만드는 시간보다 운영하고 발행하는 데 쓰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면, 지금이 자동화를 시작할 타이밍입니다. 위에서 소개한 시스템을 하나씩 도입해보면, 꾸준함이 쉬워지는 부업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. 단순 블로그가 아니라 AI 기반 콘텐츠 시스템을 지금부터 설계해보세요.

🔗 함께 보면 좋은 글

반응형